맨위로가기

제2차 오쿠마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오쿠마 내각은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오쿠마 시게노부 후작을 총리로 하여 존속했다. 주요 정책으로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대중국 21개조 요구 제출, 2개 사단 증설 문제가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독일의 산둥반도와 남양 제도를 점령하고, 중국에 21개조 요구를 제출하여 비판을 받았다. 또한, 2개 사단 증설 문제로 선거 간섭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오쿠마 내각은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과 국내 정치에서의 강압적인 통치 방식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일본 - 데라우치 내각
    데라우치 내각은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총리, 외무대신,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시베리아 출병 결정, 대중국 외교, 이시이·랜싱 협정 체결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쌀 소동과 총리의 건강 악화로 총사퇴한 일본 제국의 내각이다.
  • 1916년 일본 - 다카라즈카 가극단 3기생
    다카라즈카 가극단 3기생은 1915년 초무대를 밟은 단원들로, 백인일수에서 예명을 따온 단원들이 있으며 우지 아사코, 다카사고 마츠코, 오가와 나츠코, 타카하마 키쿠코 등이 대표적이고 다카라즈카 가극단 초기 발전에 기여했다.
  • 1915년 일본 - 21개조 요구
    21개조 요구는 일본이 제1차 세계 대전의 틈을 타 중국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려 1915년 중화민국에 제시한 요구 사항으로, 산둥성의 이권, 남만주와 동부 내몽골에서의 특수 권익 등을 포함하며 중국 내 반일 감정 고조 및 중일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 1915년 일본 - 타파니 사건
    타파니 사건은 1915년 대만에서 발생한 무장 봉기로, 천년주의와 민간 신앙에 영향을 받은 여청방이 일본 식민 통치에 저항하여 독립 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으나 일본에 의해 진압되었다.
  • 1914년 일본 - 칭다오 전투
    칭다오 전투는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영일동맹을 명분으로 독일 제국의 조차지 칭다오를 점령한 전투로, 일본군의 승리로 끝났으나 중국에게는 국가적 수치로 인식되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영향을 미쳤다.
  • 1914년 일본 - 지멘스 사건
    지멘스 사건은 1914년 일본에서 지멘스사의 뇌물 제공으로 인해 발생한 해군 군수품 조달 비리 사건으로, 정계, 군부, 재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야마모토 곤베에 내각이 총사퇴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일본 해군의 부패상과 군부-재벌 간 유착 관계를 드러낸 사건이다.
제2차 오쿠마 내각
기본 정보
오쿠마 시게노부
오쿠마 시게노부, 총리
내각 명칭제2차 오쿠마 내각
원어 명칭第2次大隈内閣
역대 내각17대
관할일본
국가 원수다이쇼
총리오쿠마 시게노부
총리 이전 직책백작・와세다 대학 총장
성립일1914년 4월 16일
해산일1916년 10월 9일
전임 내각제1차 야마모토 내각
후임 내각데라우치 내각
여당입헌동지회
중정회
오쿠마 백작 후원회
선거 정보
선거1915년 총선거
해산일1914년 12월 25일
의회 회기제32회 제국의회
제33회 제국의회
제34회 제국의회
제35회 제국의회
제36회 제국의회
제37회 제국의회
의회 정보
중의원 블록'입헌동지회'
귀족원 블록공성회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내각 관방 홈페이지

2. 내각 구성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존속한 제2차 오쿠마 내각은 1915년 8월 10일 내각 개편이 있었다.[1]

담당 부처성명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오쿠마 시게노부 후작입헌동지회1914년 4월 16일1916년 10월 9일
외무대신가토 다카아키 남작입헌동지회1914년 4월 16일1915년 8월 10일
내무대신오쿠마 시게노부 후작입헌동지회1914년 4월 16일1915년 1월 7일
오우라 가네타케 자작군인 (육군)1915년 1월 7일1915년 7월 30일
오쿠마 시게노부 후작입헌동지회1915년 7월 30일1915년 10월 13일
대장대신와카쓰키 레이지로입헌동지회1914년 4월 16일1915년 8월 10일
육군대신오카 이치노스케군인 (육군)1914년 4월 16일1916년 3월 30일
해군대신야시로 로쿠로군인 (해군)1914년 4월 16일1915년 8월 10일
사법대신오자키 유키오추성회1914년 4월 16일1916년 10월 9일
문부대신이치키 기토쿠로무소속1914년 4월 16일1915년 8월 10일
농상무대신오우라 가네타케 자작군인 (육군)1914년 4월 16일1915년 1월 7일
고노 히로나카입헌동지회1915년 1월 7일1916년 10월 9일
통신대신다케토미 도키토시입헌동지회1914년 4월 16일1915년 8월 10일
내각서기관장에기 다스쿠무소속1914년 4월 16일1916년 10월 9일
내각법제국 국장구라토미 유자부로무소속1914년 4월 16일1914년 4월 25일
다카하시 사쿠에무소속1914년 4월 25일1916년 10월 9일
정무차관
외무 정무차관아다치 겐조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5년 8월 12일
내무 정무차관시모오카 주지무소속1915년 7월 2일1915년 8월 12일
대장 정무차관하마구치 오사치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5년 8월 12일
육군 정무차관마나베 아키라 남작군인 (육군)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해군 정무차관하야미 세이지무소속1915년 7월 2일1915년 8월 21일
사법 정무차관다가와 다이키치로추성회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문부 정무차관구와타 구마조무소속1915년 7월 2일1915년 8월 21일
농상무 정무차관마치다 주지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통신 정무차관후지사와 이쿠노스케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5년 8월 21일
참의관
외무 참의관스즈오키 구라지로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5년 8월 12일
내무 참의관도리이 데이지로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대장 참의관오쓰 준이치로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5년 8월 21일
육군 참의관미우라 도쿠이치로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해군 참의관다나카 젠리쓰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사법 참의관세키 가즈토모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문부 참의관오쿠마 노부쓰네무소속1915년 7월 2일1915년 10월 30일
농상무 참의관쓰보이 구하치로 남작무소속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통신 참의관아라카와 고로입헌동지회1915년 7월 2일1916년 10월 9일
[1]


2. 1. 국무대신 (초대 내각)

제2차 오쿠마 내각의 국무대신은 1914년 4월 16일부터 1915년 8월 10일까지 재직했으며,[1] 주요 직책과 재직 기간은 다음과 같다.

직책대수성명사진주요 경력재직 기간
내각총리대신17오쿠마 시게노부
외무대신, 내각총리대신, 와세다 대학 총장1914년 4월 16일 ~ 1916년 10월 9일
외무대신29가토 다카아키
남작, 외무대신1914년 4월 16일 ~ 1915년 8월 10일
내무대신30오쿠마 시게노부외무대신, 내각총리대신, 와세다 대학 총장1914년 4월 16일 ~ 1915년 1월 9일
대장대신17와카쓰키 레이지로
대장대신, 귀족원 의원1914년 4월 16일 ~ 1915년 8월 10일
육군대신23오카 이치노스케
남작, 육군 중장1914년 4월 16일 ~ 1916년 3월 30일
해군대신19야시로 로쿠로
해군 중장, 해군대학교1914년 4월 16일 ~ 1915년 8월 10일
사법대신20오자키 유키오
도쿄 시장, 문부대신1914년 4월 16일 ~ 1916년 10월 9일
문부대신26이치키 기토쿠로
제국대학 교수, 법제국장관1914년 4월 16일 ~ 1915년 8월 10일
농상무대신26오우라 가네다케
자작, 농상무대신, 내무대신1914년 4월 16일 ~ 1915년 1월 7일
체신대신22다케토미 도키토시
중의원 의원, 내각서기관장1914년 4월 16일 ~ 1915년 8월 10일


2. 1. 1. 내각총리대신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재직한 일본내각총리대신오쿠마 시게노부이다.[1][2] 오쿠마 시게노부는 입헌동지회 소속으로, 외무대신, 내각총리대신, 와세다 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대수성명주요 경력재직 기간
17오쿠마 시게노부외무대신
내각총리대신
와세다 대학 총장
1914년 4월 16일 ~ 1916년 10월 9일


2. 1. 2. 외무대신

가토 다카아키는 입헌동지회 소속으로, 1914년 4월 16일부터 1915년 8월 10일까지 일본의 외무대신을 역임했다.[1] 남작 작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외무대신 경력이 있었다.[1]

가토 다카아키
--
직책외무대신
정당입헌동지회
작위남작
재직 기간1914년 4월 16일 ~ 1915년 8월 10일


2. 1. 3. 내무대신

오쿠마 시게노부 내각총리대신은 1914년 4월 16일부터 1915년 1월 7일까지 내무대신을 겸임했다.[3] 1915년 1월 7일 오우라 가네다케가 내무대신에 임명되었으나,[3][4] 1915년 7월 30일 사임했다.[5] 같은 날 오쿠마 시게노부가 다시 내무대신을 겸임하였고,[5] 1915년 8월 10일 이치키 기토쿠로가 내무대신에 임명되었다.

대수성명주요 경력재직 기간비고
30오쿠마 시게노부--외무대신
내각총리대신
와세다 대학 총장
1914년 4월 16일 ~ 1915년 1월 9일겸직
31오우라 가네다케자작
농상무대신
내무대신
1915년 1월 9일 ~ 1915년 7월 30일
32오쿠마 시게노부--외무대신
내각총리대신
와세다 대학 총장
1915년 7월 30일 ~ 1915년 8월 10일겸직
33이치키 기토쿠로제국대학 교수
법제국장관
1915년 8월 10일 ~ 1916년 10월 9일


2. 1. 4. 대장대신

제2차 오쿠마 내각의 대장대신은 와카쓰키 레이지로와 다케토미 도키토시가 역임했다.[1] 와카쓰키 레이지로는 1914년 4월 16일부터 1915년 8월 10일까지 재임하였으며, 대장대신과 귀족원 의원을 지냈다. 다케토미 도키토시는 1915년 8월 10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중의원 의원과 내각서기관장을 역임했다.

대수성명사진주요 경력재직 기간
17와카쓰키 레이지로대장대신
귀족원 의원
1914년 4월 16일 ~ 1915년 8월 10일
18다케토미 도키토시중의원 의원
내각서기관장
1915년 8월 10일 ~ 1916년 10월 9일


2. 1. 5. 육군대신

오카 이치노스케는 육군 중장 및 남작 출신으로, 제2차 오쿠마 내각에서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3월 30일까지 육군대신을 역임했다.[1][2]

2. 1. 6. 해군대신

야시로 로쿠로는 해군 중장으로 해군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1914년 4월 16일부터 1915년 8월 10일까지 해군대신을 지냈다.[2]

2. 1. 7. 사법대신



오자키 유키오도쿄 시장과 문부대신을 역임하였다. 제2차 오쿠마 내각에서는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사법대신을 역임하였다.[1]

직책대수성명주요 경력재직 기간
사법대신20오자키 유키오도쿄 시장, 문부대신1914년 4월 16일 ~ 1916년 10월 9일


2. 1. 8. 문부대신

이치키 기토쿠로는 제2차 오쿠마 내각에서 1914년 4월 16일부터 1915년 8월 10일까지 문부대신을 역임했다.[2] 그는 제국대학 교수와 법제국장관을 지냈으며, 귀족원 의원이었다.[1]

2. 1. 9. 농상무대신

오우라 가네타케육군 군인 출신으로 1914년 4월 16일부터 1915년 1월 7일까지 농상무대신을 역임했다.[4][3] 이후 고노 히로나카가 1915년 1월 7일부터 농상무대신을 맡았다.[3]

농상무대신주요 경력재직 기간비고
오우라 가네타케자작, 농상무대신, 내무대신1914년 4월 16일 ~ 1915년 1월 7일[4][3]
고노 히로나카중의원 의장1915년 1월 7일 ~ 1916년 10월 9일첫 입각[3]


2. 1. 10. 체신대신

다케토미 도키토시는 1914년 4월 16일부터 1915년 8월 10일까지 체신대신을 역임했다.[1] 이후 미노우라 가쓴도가 1915년 8월 10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체신대신을 역임했다.[1] 다케토미 도키토시는 중의원 의원이자 내각서기관장 출신이며, 입헌동지회 소속이었다.[1] 미노우라 가쓴도는 중의원 의원이었으며, 입헌동지회 소속이었다.[1]

대수성명초상주요 경력재직 기간비고
22다케토미 도키토시--중의원 의원
내각서기관장
1914년 4월 16일 ~ 1915년 8월 10일입헌동지회
23미노우라 가쓴도
중의원 의원1915년 8월 10일 ~ 1916년 10월 9일입헌동지회


2. 2. 국무대신 (내각 개편 이후)

1915년 8월 10일 개편된 제2차 오쿠마 내각의 국무대신은 다음과 같다.[1]

직책성명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외무대신이시이 기쿠지로무소속1915년 10월 13일1916년 10월 9일
내무대신이치키 기토쿠로무소속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대장대신다케토미 도키토시입헌동지회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육군대신오시마 겐이치육군1916년 3월 30일1916년 10월 9일
해군대신가토 도모사부로해군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사법대신오자키 유키오중정회1914년 4월 16일1916년 10월 9일
문부대신다카다 사나에무소속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농상무대신고노 히로나카입헌동지회1915년 1월 7일1916년 10월 9일
체신대신미노우라 가쓰도입헌동지회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2. 2. 1. 내각총리대신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일본내각총리대신오쿠마 시게노부 후작이었다.[1] 1915년 8월 10일 내각 개편 당시, 그는 입헌동지회 소속이었으나 이후 무소속이 되었다.[10]

2. 2. 2. 외무대신

오쿠마 시게노부 후작(1915년 8월 10일 ~ 1915년 10월 13일)은 내각총리대신을 겸임하였다.[1] 이시이 기쿠지로 남작(1915년 10월 13일 ~ 1916년 10월 9일)이 외무대신에 임명되었다.[1]

직책대신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외무대신오쿠마 시게노부입헌동지회1915년 8월 10일1915년 10월 13일
외무대신이시이 기쿠지로무소속1915년 10월 13일1916년 10월 9일


2. 2. 3. 내무대신

이치키 키토쿠로는 1915년 8월 10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내무대신을 역임하였다. 이치키 키토쿠로는 무소속이었다.[1]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내무대신29이치키 키토쿠로--귀족원


2. 2. 4. 대장대신

1915년 8월 10일, 다케토미 도키토시가 입헌동지회 소속으로 대장대신에 임명되었다.[1] 그는 1916년 10월 9일까지 대장대신 직을 수행하였다.[1]

2. 2. 5. 육군대신

오카 이치노스케는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3월 30일까지, 오시마 겐이치는 1916년 3월 30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육군대신을 역임했다.[1] 두 사람 모두 육군 출신이다.[1]

성명출신재임 기간
12오카 이치노스케육군 중장1914년 4월 16일 ~ 1916년 3월 30일
13오시마 겐이치육군 중장1916년 3월 30일 ~ 1916년 10월 9일


2. 2. 6. 해군대신

가토 도모사부로해군 군인으로, 1915년 8월 10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제2차 오쿠마 내각의 해군대신을 역임했다.[1] 해대 갑호 1기 출신 해군 중장으로, 이 직책은 그가 처음으로 내각에 참여한 것이었다.[10]

직책대신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해군대신가토 도모사부로군 (해군)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2. 2. 7. 사법대신

오자키 유키오는 중정회 소속으로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사법대신을 역임하였다.[1]

2. 2. 8. 문부대신

1915년 8월 10일 내각 개편으로 다카다 사나에가 문부대신에 임명되었다.[10] 다카다 사나에는 무소속으로, 1916년 10월 9일까지 재직하였다.[1]

직명성명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문부대신다카다 사나에무소속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2. 2. 9. 농상무대신

고노 히로나카 (입헌동지회)는 1915년 1월 7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제2차 오쿠마 내각의 농상무대신을 맡았다.[1]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농상무대신26고노 히로나카--중의원
입헌동지회
유임


2. 2. 10. 체신대신

미노우라 가쓰도 (입헌동지회)는 1915년 8월 10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제2차 오쿠마 내각의 체신대신을 맡았다.[1] 그는 중의원 출신으로, 이 자리는 그가 처음으로 맡은 대신 직책이었다.[10]

직책성명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체신대신미노우라 가쓰도입헌동지회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2. 3. 기타 관료

제2차 오쿠마 내각의 내각서기관장은 에기 다스쿠이며,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재직하였다.[2] 법제국 장관은 구라토미 유자부로가 1914년 4월 16일 임명되었으나 4월 25일 사임하였고, 같은 날 다카하시 사쿠에가 임명되어 내각이 끝날 때까지 재직하였다.[6]

1915년 7월 2일에는 각 부처에 참정관과 부참정관이 임명되었다.[8] 임명된 참정관과 부참정관, 소속 정당 및 재직 기간은 다음과 같다.

직명성명소속 정당비고
외무참정관아다치 겐조입헌동지회1915년 8월 12일 사임[9]
내무참정관시모오카 주지무소속단1915년 8월 12일 사임[9]
대장참정관하마구치 오사치입헌동지회1915년 8월 12일 사임[9]
육군참정관마나베 아키라귀족원, 예비역 육군 중장
해군참정관하야미 세이지무소속
사법참정관다가와 다이키치로중정회
문부참정관구와다 구마조귀족원
농상무참정관마치다 주지입헌동지회
체신참정관후지사와 이쿠노스케입헌동지회
외무부참정관스즈오키 구라지로입헌동지회1915년 8월 12일 사임[9]
내무부참정관도리이 데이지로입헌동지회
대장부참정관오쓰 준이치로입헌동지회
육군부참정관미우라 도쿠이치로입헌동지회
해군부참정관다나카 젠리쓰입헌동지회
사법부참정관세키 가즈토모입헌동지회
문부부참정관오쿠마 노부쓰네무소속단
농상무부참정관쓰보이 구하치로귀족원, 무소속
체신부참정관아라카와 고로입헌동지회



1915년 8월 12일에 외무참정관 아다치 겐조, 내무참정관 시모오카 주지, 대장참정관 하마구치 오사치, 외무부참정관 스즈오키 구라지로가 사임하였다.[9]

이후 1915년 8월 21일, 내무참정관에 후지사와 이쿠노스케(입헌동지회), 대장참정관에 가토 마사노스케(중정회), 문부참정관에 오쓰 준이치로(입헌동지회), 체신참정관에 기노시타 겐지로(입헌동지회)가 임명되었다. 같은 날 대장부참정관에 무라야스 신쿠로(무소속단)가 임명되었다.[13]

1915년 10월 30일, 외무참정관에 도카이 산시(입헌동지회), 외무부참정관에 오쿠마 노부쓰네(무소속단), 문부부참정관에 고야마 다니조(중정회)가 임명되었다. 같은 날 문부부참정관 오쿠마 노부쓰네가 사임하였다.[14]

1916년 1월 19일에는 해군참정관에 오카베 지로(중정회)가 임명되었다. 그에 앞서 1915년 12월 26일 해군참정관 하야미 세이지가 사임하였다.[13]

2. 3. 1. 내각서기관장

에기 다스쿠는 제2차 오쿠마 내각에서 1914년 4월 16일부터 1916년 10월 9일까지 내각서기관장을 역임하였다.[2] 그는 무소속이었다.[1]

직책대수성명사진주요 경력재직 기간비고
내각서기관장19에기 다스쿠
내각서기관장1914년 4월 16일 ~ 1916년 10월 9일


2. 3. 2. 법제국 장관

구라토미 유자부로는 제2차 오쿠마 내각이 성립될 때 법제국 장관에 임명되었으나 1914년 4월 25일 사임하였고, 같은 날 다카하시 사쿠에가 임명되어 1916년 10월 9일까지 재직하였다.[6]

성명출신 등비고
16구라토미 유자부로--귀족원
무소속
1914년 4월 25일 면직[6]
17다카하시 사쿠에--민간[7]1914년 4월 25일 임명[6]


2. 3. 3. 참정관 및 부참정관

1915년(다이쇼 4년) 7월 2일에 임명된 각 부처별 참정관 및 부참정관 명단과 소속 정당, 재직 기간은 다음과 같다.[8]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외무참정관아다치 겐조중의원/입헌동지회1915년 8월 12일 사임[9]
(결원)
내무참정관시모오카 주지중의원/무소속단1915년 8월 12일 사임[9]
(결원)
대장참정관하마구치 오사치중의원/입헌동지회1915년 8월 12일 사임[9]
(결원)
육군참정관마나베 아키라귀족원/예비역 육군 중장/남작
해군참정관하야미 세이지중의원/무소속
사법참정관다가와 다이키치로중의원/중정회
문부참정관구와다 구마조귀족원
농상무참정관마치다 주지중의원/입헌동지회
체신참정관후지사와 이쿠노스케중의원/입헌동지회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외무부참정관스즈오키 구라지로중의원/입헌동지회1915년 8월 12일 사임[9]
(결원)
내무부참정관도리이 데이지로중의원/입헌동지회
대장부참정관오쓰 준이치로중의원/입헌동지회
육군부참정관미우라 도쿠이치로중의원/입헌동지회
해군부참정관다나카 젠리쓰중의원/입헌동지회
사법부참정관세키 가즈토모중의원/입헌동지회
문부부참정관오쿠마 노부쓰네중의원/무소속단
농상무부참정관쓰보이 구하치로귀족원/무소속(공정회)/남작
체신부참정관아라카와 고로중의원/입헌동지회



1915년(다이쇼 4년) 8월 21일에 일부 참정관 및 부참정관이 교체되었다.[13]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외무참정관(결원)1915년 10월 30일까지
도카이 산시중의원/입헌동지회1915년 10월 30일 임명[14]
내무참정관후지사와 이쿠노스케중의원/입헌동지회
대장참정관가토 마사노스케중의원/중정회
육군참정관마나베 아키라귀족원/예비역 육군 중장/남작유임
해군참정관하야미 세이지중의원/무소속유임, 1915년 12월 26일 사임
(결원)1916년 1월 19일까지
오카베 지로중의원/중정회1916년 1월 19일 임명
사법참정관다가와 다이키치로중의원/중정회유임
문부참정관오쓰 준이치로중의원/입헌동지회
농상무참정관마치다 주지중의원/입헌동지회유임
체신참정관기노시타 겐지로중의원/입헌동지회



직명성명출신 등비고
외무부참정관(결원)1915년 10월 30일까지
오쿠마 노부쓰네중의원/무소속단1915년 10월 30일 임명[14]
내무부참정관도리이 데이지로중의원/입헌동지회유임
대장부참정관무라야스 신쿠로중의원/무소속단
육군부참정관미우라 도쿠이치로중의원/입헌동지회유임
해군부참정관다나카 젠리쓰중의원/입헌동지회유임
사법부참정관세키 가즈토모중의원/입헌동지회유임
문부부참정관오쿠마 노부쓰네중의원/무소속단1915년 10월 30일 사임[14]
고야마 다니조중의원/중정회1915년 10월 30일 임명[14]
농상무부참정관쓰보이 구하치로귀족원/무소속(공정회)/남작유임
체신부참정관아라카와 고로중의원/입헌동지회유임


3. 주요 정책

제2차 오쿠마 내각의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3. 1.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오쿠마 내각영일 동맹에 따라 연합국 측으로 참전하였다. 일본 제국은 독일 제국이 점령하고 있던 산둥반도남양 군도를 공격하여 점령했다.[16]

3. 2. 대중국 21개조 요구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영국과의 영일 동맹에 따라 연합국의 일원으로서 참전한 일본은 적국 독일이 영유하던 산둥반도·남양 제도에서 독일 세력을 몰아내고, 중화민국 베이징 정부에 대해 대중국 21개조 요구를 제출했다.[15] 베이징 정부는 이를 인정했지만, 이는 내외의 정세를 고려하지 않은 가토 다카아키 외상의 독주로 여겨져 야마가타 아리토모 등 원로들로부터 불만을 샀다.[16]

3. 3. 2개 사단 증설 문제

제1차 야마모토 내각지멘스 사건으로 총사직한 후, 오쿠마 시게노부가 내각을 조직했다. 오쿠마 내각은 조선 주둔 일본군 2개 사단 증설을 추진했으나, 1914년 12월 중의원에서 입헌정우회의 반대로 부결되었다.[15] 이에 중의원을 해산하고 제1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1915년 3월 25일)를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오우라 가네타케 내무대신이 대규모 선거 간섭(오우라 사건)을 자행했다.[16] 그 결과, 입헌동지회가 제1당이 되어 안정 다수를 획득했고, 선거 후 6월 21일 2개 사단 증설안이 통과되었다.[15]

4. 오쿠마 시게노부 내각에 대한 평가

오쿠마 시게노부는 일본의 근대화에 기여한 정치가로 평가받지만,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과 국내 정치에서의 강압적인 통치 방식은 비판받는다. 특히 대중국 21개조 요구와 오우라 사건은 오쿠마 내각의 부정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오쿠마 내각은 영일 동맹에 따라 연합국 측에 가담하여 참전하였다. 이로 인해 적국이었던 독일이 영유하던 산둥반도와 남양 제도에서 독일 세력을 몰아내고, 중화민국 베이징 정부에 대중국 21개조 요구를 제출하여 이를 승인받았다.[16] 그러나 이러한 외교 정책은 당시 일본 내외 정세를 고려하지 않은 가토 다카아키 외상의 독단적인 결정으로,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비롯한 원로들의 불만을 샀다.[16]

또한, 2개 사단 증설 문제와 관련하여 오우라 가네타케 내무대신이 대규모 선거 간섭(오우라 사건)을 일으켜 입헌동지회가 제1당이 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16]

이러한 사건들은 오쿠마 내각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과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을 받는다. 진보적 관점에서는 오쿠마 내각의 이러한 행보가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훼손했다고 지적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econd Ōkuma Cabinet http://www.kantei.go[...]
[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4-04-16
[3]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5-01-07
[4] 문서 農商務相から内相に転任人事。
[5]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5-07-30
[6] 간행물 『官報』第521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4-04-27
[7] 문서 東京帝国大学法科大学教授兼任。
[8] 간행물 『官報』第521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5-07-03
[9] 간행물 『官報』第910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5-08-13
[10]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5-08-10
[11]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5-10-13
[1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6-03-30
[13] 간행물 『官報』第918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5-08-23
[14] 간행물 『官報』第976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15-11-01
[15] 문서 元来、山縣は憲政最初期の建前である超然主義を厳密に標榜しており、1900年代の桂園時代以降、前山本内閣に至るまで内閣の存立に深く関与するようになった政友会、特に原敬総裁を本能的に嫌っていた。
[16] 문서 大隈は自由民権運動以来の非藩閥勢力の最古参で、1898年には同運動出身の政党人として初めて首相就任していた(第1次大隈内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